<병원진료기록 방문기록 조회방법 정리>
오늘은 생활의 꿀팁으로 병원진료기록 조회하는방법 정리해보려고 하는데요.
평소에는 사실 그렇게 사용할일은 없지만, 새로운 보험가입등의 사유로 최근1년간 병원치료력이나 어떤치료를 받았는지 확인해볼수 있는방법입니다.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내역은 모두 인터넷으로 조회가능합니다.
포털검색창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www.nhis.or.kr>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연결됩니다. 다만, 온라인 이용시에는 본인확인할수 있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므로 금융기관에서 발급신청은 되어있어야 겠죠.
국민건강보험공단 메인화면에 보면, 진료받은 내용보기를 누르면 됩니다.
처음사용할때는 만족도조사(매우만족,만족,보통,불만족,매우불만족) 팝업도 됩니다. 체크하고 확인해야 다음화면으로 넘어갑니다.
확인하면,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합니다.
개인 / 사업장 으로 나뉘고,
개인이라면 개인화면의 주민번호 넣고 본인인증 누르면 됩니다.
본인건이라면 의료비 진료받은내역이 바로 확인이 됩니다
만약, 14세미만 미성년자 자녀라면, 아래처럼, 수진자란에 화살표를 누르면 이름 확인후 [선택]을 누르면 해당자녀건 조회가 가능합니다.
<자녀건 조회시> 만14세이상과 미만으로 조회하는방법이 다르니 해당내용 확인해보고 조회가능합니다.
<14세미만 자녀건> 병원진료기록은 법정대리인인 부.모가 조회가능.
<만 14세 이상 자녀> 자녀본인의 '미성년자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열람이 가능하며, 부모의 공인인증서로는 열람불가 합니다.
조회한날을 기준으로 14개월전 진료분부터 1년간 확인이 가능하벼
아래 화면처럼 병원진료기록 내역 확인해 보면 된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회 방법은, 최근 기록이니 참고해 보면됩니다.
또한, 5년간의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도 조회가 가능한데요.
이 내용은 다음에 다시 확인해 보도록 할께요.